VR이란?
VR은 virtual reality의 줄임말로, 가상현실을 의미한다. 가상현실은 컴퓨터 등을 사용한 인공적인 기술로 만들어낸 실제와 유사하지만 실제가 아닌 어떤 특정한 환경이나 상황 혹은 그 기술 자체를 의미한다.
인터랙티브 게임(콘텐츠)이란?
인터랙티브 게임이란, 사용자의 선택을 반영하여 진행되는 게임 장르로, 다양한 스토리텔링 방식으로 게임이 진행된다. 이와 같은 특징 때문에, 인터랙티브 게임의 유저는 본인이 실제 게임세계 속에 들어간 듯한 느낌을 받으며, 더욱 현실감 있게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다.
우리 팀은 현재, VR로 인터랙티브 게임을 만들려고 계획하고 있다. 두 가지 요소를 접목한다면 현실감을 극대화한 게임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터랙티브 콘텐츠와 VR게임에 대한 자료 조사를 진행해보았다. 우선, 내가 조사한 인터랙티브 콘텐츠는 1)NETFLIX_YOU WILD 와 2)LIFE IS STRANGE이다.
1. NETFLIX_YOU WILD
YOU WILD는 인터랙티브 영상이다. 게임은 아니지만, 영상이 진행될 때, 사용자의 선택을 반영하여 영상의 진행 내용이 변경된다.
영상 중간중간마다, 이런 식으로 선택지가 제시되며, 사용자가 어떤 선택지를 선택하느냐에 따라 영상의 내용이 달라진다. (영상 내용에 사용자의 선택이 반영된다.) 결말에도 차이가 있을까하여, 같은 에피소드를 다른방식으로 여러번 play해봤지만, 영상 진행내용에만 차이가 있고, 결말은 동일 했다. 그리고 영상 말미에서는 다음 에피소드로 넘어갈지, 같은 에피소드를 다시 play할지에 대한 선택도 사용자가 하도록 하였다. 선택지가 제시되는 point에서 어떤 선택지를 택하냐에 따라 영상의 내용은 달라졌지만, 중간중간 영상이 진행되는 굵직한 핵심 내용들은 동일했다. 즉, 하나의 큰 스토리라인 속에서 사용자의 선택으로 영상 내용의 detail이 변경되는 식으로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
우리 게임도, 하나의 큰 스토리라인 속에서 사용자의 선택으로 detail이 바뀌는 식으로 진행해도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2. LIFE IS STRANGE
LIFE IS STRANGE는 인터랙티브 게임으로, 사용자의 선택으로 게임이 진행된다. 주인공에게는 시간이 되돌릴 수 있는 능력이 있는데, 사용자는 주인공이 되어, 선택을 하고, 그 선택이 마음에 들지 않거나, 게임 진행 내용 상 잘못된 선택이라고 생각되면 shift 키를 눌러서 이전선택을 할 당시로 돌아가 선택을 번복할 수 있다. 이 게임에서, 우리 게임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 요소는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가 컨트롤러 레이저로 주변 물건 가리켰을때 위의 사진처럼 어떤 것이 선택된 상태이고, 그 선택된 물건으로 어떤 행동을 할 수 있을지 알려주면 좋을 것 같다고 생각했다. 멘토링할 때 받았던 피드백 중 하나는, VR게임이기 때문에, 주변의 사물들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하고 만져볼 수 있도록 하는 식으로 게임이 진행되면 좋을 것 같다는 것이었다. 그래서 위와 같이 구현한다면, VR의 특징까지 접목되어 현실감이 더욱 극대화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다.
그리고 특정 행동을 유도할 때는 이런식으로 제시해도 좋을 것 같다.
그리고 위의 넷플릭스 영상과 비슷하게, 이 게임에서도 이런 식으로 사용자가 선택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시했는데, 우리도 다른 캐릭터들과 소통하도록 할 때, 이런 식의 대화방식을 택해도 좋을 것 같다고 생각했다.
앞서 언급했듯, 본 게임의 가장 큰 설정은, 주인공이 시간을 되돌릴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사람이란 것이었다. 그래서 사용자는 시간을 되돌려, 본인의 선택을 번복하고 다른 게임진행을 택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런 설정이 없는 넷플릭스 영상에서도, 사용자가 마지막 선택을 번복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두었는데, 우리 게임에서도, 사용자가 본인의 선택을 번복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두는 것도 좋을 것이라 생각했다.
자료조사를 위해 play 해본 VR게임으로는 1) Lucky’s tale 2) The climber 3) Tilt Brush 4) BBC Home VR 5)Galaxity이 있다.
1. Lucky’s tale
VR 게임이었지만, VR의 특징이 잘 반영되어있다고는 생각되지 않았다. 컴퓨터 게임을 VR로play하는 느낌이었는데, 어지럽기만하고, play하기도 쉽지 않았다.
2. The climber
실제 암벽을 타는 느낌을 받듯, 현실감있게 굉장히 잘 구현된 게임이었다. 그리고 controller 사용방법도 쉬워서 play하는데 어려움이 없었다.
--> player에게 controller 사용법을 설명해주는 part가 있어야하며,(튜토리얼 등) 무엇보다 controller 사용법이 간단해야함을 알 수 있었다.
3. Tilt Brush
controller 사용법이 간단해서, 별도의 설명이 없어도 잘 play할 수 있었고, 무엇보다 공간감 반영이 굉장히 잘 되어있는 게임이었다. 간단하지만, 잘 구현된 게임이라는 느낌을 많이 받았다. 게임의 컨셉이 확고해서 그런 것 같다.
--> 우리 게임도, 한가지 큰 컨셉을 정확히 잡고 들어가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4. BBC Home
실제 우주에 온 듯한 효과를 느꼈다. 그래픽의 리얼함 때문인 것 같았다.
--> 우리 게임도 asset을 잘 활용해서, 실제로 여행하는 느낌을 줄 수 있도록 리얼한 그래픽요소를 살려서 구현하면 좋을 것 같다.
5. Galaxity
다양한 캐릭터들과 소통할 수 있도록하는 장치가 있었는데, 그 방법이 쉽지가 않았다. 그러나 전체적인 게임의 설정이나 배경이 우리가 만들고자하는 게임과 비슷한 느낌이었다. 게임 환경을 설정할 때 참고해도 좋을 것 같은 게임이다. 상대 캐릭터가 하는 말을 음성으로 읽어주지 않고, 대본으로만 띄워줬는데, 글을 읽는 것이 쉽지 않았다.
--> 캐릭터와 소통하도록 할 때, 상대 캐릭터가 하는 말을 음성, 대본 이중으로 제공하도록 하고, 어떻게 소통할 수 있는지를 직관적으로 player가 알 수 있도록 구현해야 될 것 같다.
'졸업프로젝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니티 기본강좌 _ 1. 게임 object (0) | 2021.11.19 |
---|---|
유니티 기본강좌 _ 0. 유니티 기본 UI 정리 (0) | 2021.11.19 |
자료조사(환경) - <지구별을 사랑하는 방법 100>을 읽고_어렵지 않은 에코라이프. (0) | 2021.11.18 |
자료조사(환경) - <공책>을 읽고_생활 속에서 실천할 수 있는 여러 환경친화적 삶의 방식에 대하여. (0) | 2021.11.17 |
자료조사(환경) - <희망을 여행하라 (여행과 환경. 지구를 사랑한 여행자들)>을 읽고_여행을 하며 우리가 환경에 미치는 안 좋은 영향들에 대하여. (0) | 2021.11.17 |